야생삼 채굴
길들여지지 않은 야생에서 심마니가 직접 찾아 산삼을 채취한다. 진귀하고 희귀한 약재이며 가치가 높다.
산양삼 재배
산삼의 소비가 일반화되며 산삼의 종자를 산림에 뿌려서 번식시켰다. 자연상태의 생육환경으로 인해 수확량이 극히 적다.
노지재배
채종 및 개갑 후 예정지선정 및 관리, 이랑을 만들어 묘삼이식, 해가림설치, 제토, 제초, 월동관리 등의 단계를 거쳐 수확한다.
환경 변수가 많고 연작이 힘들며 안정적 생산이 어렵다.
수경재배·LED재배·하우스재배
시설 내에서 인삼에 필요한 양분을 깨끗한 물에 용해시켜 배양액을 만든 후 지하부와 지상부 환경을 인위적으로 조절하면서 청정한 인삼을 재배하며 온도 및 습도를 조절할 수 있다.
환경조절, 청정생산이 가능하고 계절 및 환경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사포닌함량이 증가하며 반복생산이 가능하다.